반응형

Engineering/Control Engineering 4

8 Frequency Response Methods

어떤 선형시스템에 시스템의 근의 실수부 모두 좌반면에 있다면 가 되며 이것은 다시 역변환하여 으로 볼수있으며 정리하면 어떤 선형 상계수 시스템(선형시불변시스템)에 정현파의 입력신호를 넣으면 출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차는 오로지 입력신호의 각주파수 w에 대한 함수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입력 정현파의 주파수를 다양하게 함으로서 어떤 시스템에대한 정상상태 응답을 조사 할 수 있다. 주파수 응답에 대한 이점은 다양한 진폭과 주파수 범위의 정현파 입력신호에 대해 시스템의 출력을 알수있다. 그러나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간에 간접적인 관계로 인한 단점이 있다. 이 말은 간단하게 주파수응답과 시간영역에서의 과도 응답특성관계가 거의 없다라고 할수있으나 실제로 주파수응답특성은 다양한 설계 판별법으로 일반적으로 과도상태응답이 ..

7 The Root Locus Method

7.1 Introduction Root Locus : 어떤 변수가 바뀜에 따라 s평면에서 근의 이동하는 궤적 제어시스템의 시간응답, 즉 과도응답은 그 시스템의 폐루프 전달함수의 극점과 영점이 s평면에서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특성방정식의 근의 위치에 따라 그 제어시스템의 시간응답을 유추해낼 수 있다. 안정도 판별처럼 3차이상의 특성방정식을 인수분해하여 근을 구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개루프 전달함수의 변수 K값에 따라 시스템의 폐루프 특성방정식의 극점이 바뀌는데 K를 0부터 무한대까지 변화시킬 떄의 특성방정식의 근의 이동궤적을 그려 이 궤적으로 제어시스템을 해석하고 설계하는 방법을 근궤적 기법이라고 하고 이때 그린궤적은 근궤적 이라한다. 예를들어 어떤 시스템에 대한 특성방정식이 s^2 +..

6 The Stability of Linear Feedback Systems

6.1 The Concepts of StabilityBIBO stable : Bounded-Input-Bounded-Output-a dynamic system with a bounded response to a bounded input어떤 시스템에 크기가 유한한 입력을 가했을 때, 시간이 많이 지나도 시스템의 출력이 유한한 값이면 그 시스템을 안정하다고 한다. 절대 안정도 : 시스템이 안정한지 불안정한지 결정상대 안정도 : 안정할때 얼마나 안정한지 안정도 판별법(stability criterion) 제어시스템의 안정도를 판단하는 방법 특성방정식의 근이 복소평면의 우반면에 하나라도 있으면 시간에 대한 함수가 자연지수함수의 지수부에 양의값이 있으므로 발산한다. 그러므로 특성방정식의 모든근이 좌반면에있어야 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