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ngineering/Engineering Mathematics 2

푸리에/라플라스/웨이블릿 변환 [Fourier/Laplace/Wavelet Transform]

공학은 수학이라는 언어로 과학을 표 편하고 응용하여 더 기술적으로 발전을 꾀하는 학문입니다. 가끔 너무 수치적 결과에만 치중하여 기술적인 부분 외에 왜 이것을 하는 것인가? 에 대한 시간을 많이 가지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중간중간의 식이나 이러한 이론들 자체에 대해 많은 생각을 못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 책으로 또는 예제로 배울 수 있는 기술적인 부분보다 제가 많이 생각했던 사용하는 관점과 몇몇의 결론을 쓰게 되었습니다. 중고등 물리에서 일 [Work]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물리에서 일은 |A||B|cos(@)입니다. 자연현상에서 자기장, 힘 등등 크기와 방향으로 나타내 지는 것을 발견하고 벡터의 합또는 뺄셈으로 계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은 인류입니다. 그러나 왜 이렇게 계산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

푸리에급수

출처가 기억 나지 않지만 외국 어느사이트에서 푸리에 급수는 쉽게말해서 스무디로 레시피를 만드는것이라고 했다. 이것은 소비자 관점이아니라 생산자 관점으로 본다 라고 할수 있다. 일단 물리에서 배우는 일을 생각하면 힘과 변위의 관계를 F 곱하기 s 곱하기 cos(theta)의 뜻은 s의 차원에 F힘의 성분중 s의 차원에 영향을 주는것을 거르는 것이라고 볼수 있다. 이제 힘과 변위를 어떤 함수로 본다면 힘과 변위의 함수의 곱을 적분하는 것으로 대체된다.이제 신호나 함수의 관점으로 예를들면1+2sin(theta)+3cos(theta)의 섞인 신호를 나는 그 신호안에 저런 파형이 들어 있는지 모른다. 저 신호 전체를 -L부터 L까지 적분을 하면 삼각함수는 사라지고 넓이가 1*2L인 적분값을 얻고 주기인 2L로 나..

반응형